자료형은 크게 두가지로 되어있다
- 기본 자료형 (primitive data type) :자바에서 기본 제공해주는 자료형 (c부터 넘어온 자료형임). n바이트로 크기가 정해져 있음.
나중에 참조자료형(객체를 만들고 데이터타입으로 쓰이는)때는 new로 써야함-바이트가 정해져 있는 자료형은 아니다
- 참조 자료형 : 객체를 변수의 자료형으로 씀.
기본 자료형(primitive data type)의 종류
* 같은 4바이트라고 해도 int냐 float인지에 따라 메모리가 다르게 잡힘
- 정수 : 딱 떨어지는 수 (양수나 음수 등.)
- 문자형 : 문자
- 실수형 : 정수와 정수 사이에 수 많은 실수들이 있음 - 정수와 같이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수 자료형이 필요함
- 논리형 : true/false
정수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
부호비트가 들어가기 때문에 한 자리를 빼야 함
8을 나타낼 때 : 0~7(2의3승-1) : 8자리
부호비트를 제외하고 n-1자리 사용 가능
그리고 중간에 0이 껴있기 때문에 수의 범위는 마지막 숫자에서 -1이 되어야 함
byte: 1byte=8bit (2의7승)
short:2byte=16bit
int:4byte=32bit
...
byte와 short
- byte : 1바이트 단위의 자료형
동영상, 음악 파일, 실행 파일의 자료를 처리할 때 사용 input, output 입출력 처리하거나 데이터 받아서 출력할 때 종종 사용함 - short : 2바이트 단위의 자료형
C/C++ 언어와 호환 시 사용자바 내에서 잘 사용하지 않음
int
- 자바에서 사용하는 정수에 대한 기본 자료 형
- 4바이트 단위의 자료형
-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(리터럴)은 int 로 저장됨
- 32 비트를 초과하는 숫자는 long 자료형으로 처리
long
- 8바이트 자료형
긴 정수를 쓸 때 사용 - 숫자의 뒤에 알파벳 L 또는 l 을 써서 long 형임을 표시 함
- 예) int num = 12345678900; // 오류 : num이 표현할 수 있는 숫자를 넘어섰기 때문에 에러.
long lnum = 12345678900; //오류 : lvalue를 long으로 잡아도 rvalue의 리터럴 자체가 항상 4바이트로 잡히고 4바이트 이상의 숫자이기 때문에 에러.
long lnumber = 12345678900L; // ok : L을 붙였기 때문에 long형으로 잡혀서 사용 가능. - L은 소문자로 사용해도 괜찮음 (그리고 int->long거나 타입보다 숫자가 작은건 상관이 없음)
실수 사용에도 마찬가지인데, 실수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double형으로 잡힘.
그렇기 때문에 4바이트 짜리로 사용하고싶다면 숫자 뒤에 float의 f를 붙이면 됨. - 또한 대문자, 소문자 둘 다 사용 가능
'Java > [패스트캠퍼스] Java & SpringBoot로 시작하는 웹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 01. 자바 기초 - 08. 자료형(data type) - 문자는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표현하여 사용하나요? (0) | 2022.12.28 |
---|---|
Ch 01. 자바 기초 - 07. 자료형(data type) - 실수는 어떻게 표현하나요? (0) | 2022.12.28 |
Ch 01. 자바 기초 - 05. 변수(Variable)는 변하는 수입니다. (0) | 2022.12.28 |
Ch 01. 자바 기초 - 04. 컴퓨터에서 자료 표현하기 (0) | 2022.12.28 |
Ch 01. 자바 기초 - 01. 자바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(0) | 2022.08.10 |
댓글